42년 된 집에 새 숨결을 불어넣기

재훈이네 집수리(Jaehoon's Jip-Soori), 무회건축연구소 무회건축연구소 Casas modernas: Ideas, diseños y decoración
Loading admin actions …

한국의 경제성장과 도시발전은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주거환경 또한 경제 발전기의 시대적 상황에 맞물려 최대한 많은 주택을 최단시간 내에 보급한다는 당시 분위기와 맥락을 함께했다. 이후 4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단층 주택은 다세대주택과 아파트로 변화를 거듭하며, 삶을 위한 원초적인 목표를 넘어 더 높은 임대수익을 내기 위한 수단으로 집의 목적이 바뀌어왔다. 그러나 이런 변화 속에서도 행정적인 원인으로 증축이나 개발할 수 없어 꿋꿋이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단독 주택도 있다. 오늘 기사에서 다루는 집은 바로 그런 이유에서 신축 대신 개수를 선택했다. 42년 된 낡은 집에 새 숨결을 불어넣은 집 수리로 무회건축연구소에서 개수했다. 오래된 단층 주택이 어떻게 변신했는지 살펴보자. 

개수 전 집의 모습

오랜 시간 만큼이나 집도 늙어 있었다. 건물이 지어질 때의 상황을 고려하면 오히려 42년을 어떻게 버텨왔는지 신기할 정도였다. 방수와 단열 문제도 심각해 에너지 효율성도 크게 떨어지는 집이다. 주변의 다세대주택에 둘러싸여 답답하면서도, 담장은 허물어져 가 아늑함을 느낄 수 없었다. 집의 개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3대가 함께 어울리는 공간을 마련하고 음산한 이전 분위기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기존 건물 구조를 이용하되, 안전하게 보강하고 현실의 삶에 맞춰 다시 디자인했다.

마당의 장점을 살린 개수

개수를 마친 뒤 집의 모습이다. 주변의 주택이나 마당의 나무가 없다면 같은 집이라고 느끼기 힘들 것이다. 어둡고 낡은 이미지에서 벗어나 단정하고 따뜻한 집으로 변신했다. 특히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엔 없는 마당이 이 집의 큰 장점이다. 마당에는 데크와 접이식 벽을 활용해 집을 확장하고 외부영역을 구성했다. 거실과 같은 높이로 이어지는 데크는 대청마루가 되고, 접이식 벽을 늘리면 가족의 외부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철제 프레임은 최대한 얇은 부재로 사용해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는다. 다양한 마당과 정원이 궁금하다면 여기에서 더 살펴보자.

접이식 벽의 유연함

접이식 벽이 외부에서도 가족의 사생활을 지켜준다. 반투명 소재로 따뜻한 불빛이 쏟아지고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주변의 시선에서 자유롭게 온 가족이 둘러앉아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다. 선선한 날이면 밤하늘의 별을 헤아려보는 낭만도 있을 것이다. 흔히 자바라라고 부르는 이런 벽은 주로 실내 공간을 일시적으로 나눌 때 사용하지만, 실외에 접이식 벽을 적용하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공간의 질을 향상한다. 

빛과 바람이 머무는 거실

확장한 거실에는 선반을 놓아 책과 집기를 보관할 수 있다. 거실은 가족이 모이는 장소이자 서재가 된다. 동시에 외부와 연결하는 나무 데크를 바닥에 깔아 공간의 연속성이 느껴진다. 이때 커다란 유리문으로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문을 열면 거실은 자연의 빛과 바람이 머무는 야외 도서관이 된다. 인테리어에서는 하얀 벽과 밝은 나무의 색채가 부드럽게 어우러진다. 데크 위 접이식 벽의 프레임이 원근감을 강조하고, 사각형의 공간배치에서는 깊이감이 느껴진다. 

낮은 담장과 정감있는 장독대

낡고 허물어져 가던 담장을 낮추고 그 위로 가벼운 철제 난간을 부착했다. 아래로 갈수록 무게감 있는 재료를 사용해, 집에서 안정감이 느껴진다. 그간 높은 담장이 자연광을 차단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만들었다면, 이제 낮아진 담으로 마당은 밝고 개방적으로 바뀌었다. 거주자의 생활을 고려해 장독대를 마당에 마련한 것도 이 집의 독특한 아이디어다. 덕분에 새집으로 탈바꿈한 모습 속에서도 정감있는 추억을 느낄 수 있다.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익어가는 장처럼, 가족의 새로운 추억도 이곳에서 깊은 맛을 낼 것이다. 오래된 단층 단독 주택의 변신은 여기 기사에서도 다루고 있다.

자연과 기억에 대한 작은 배려

건물 외부를 감싸는 벽돌은 담장으로 연장되어 가족의 사생활을 지키고 아늑한 공간을 만든다. 나무 데크에서는 땅이 가진 기억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돋보인다. 집터와 함께 살아온 나무를 베어내지 않고, 나무를 감싸는 데크를 깔았다. 덕분에 계절이 바뀔 때마다 다양한 자연의 표정을 바라보고 시간의 흐름을 깨달을 수 있다. 또한, 회색의 벽돌 담장에 드리워진 나무 그림자가 생기를 불어넣는다. 자연에 대한 작은 배려로 사용자는 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오래된 집에 새 숨결을 불어넣기

마당의 낮은 담장이 개방성을 부여했다면, 높게 쌓은 벽돌 담장은 아늑하고 조밀한 공간을 만든다. 벽이나 담장 사이에는 작은 창을 낸 것이 재미있다. 이곳으로 물론 햇빛과 바람이 드나드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답답함을 줄여주는 작은 아이디어다. 요즘은 오래된 것보다 새것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다. 마찬가지로 수없이 많은 집이 허물어지고 다시 지어진다. 그중에는 정해진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더 높은 임대수익을 위해 생명을 다하는 집들도 많다. 하지만 오래된 것의 가치를 생각하고 집과 땅이 가진 기억을 존중한다면, 오늘 살펴본 집처럼 낡은 집에 새 숨결을 불어넣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아파트에서 누리지 못하는 즐거움을 3대가 함께 나눌 수 있는 단정한 집이다.

¿Necesitas ayuda con tu proyecto?
¡Contáctanos!

Destacados de nuestra revista